2021년 정월대보름 음식 나물 부럼 관습 놀이 속담(엄마표 음식 사진)
안녕하세요,
저희 부모님이 설날 만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정월대보름이 곧 다가오네요~
2021년 정월대보름은 2월 26일입니다.
대보름이란 한 해의 첫 보름으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입니다. 한자어로는 상원上元 이라고 합니다.
정월대보름 의미
우리 나라의 풍속에서는 보름달이 가지는 뜻은 강했습니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면에서 달을 여신으로 상징하고 첫 보름달이 뜨는 시간에 여신에게 대지의 풍요를 비는 것이 우리 동제의 원형이었죠.
정월대보름 관습
전라남도에서는 열나흗날 저녁부터 보름날이 밝아야 운수가 좋다고 하여 집안과 배에도 환하게 불을 켜놓았어요.
경기도에서는 열나흗날 밤 제야(除夜)와 같이 밤을 새우는 풍속이 있었고,
충청북도에서도 열나흗날 밤 ‘보름새기’를 했는데요, 저희 엄마는 충청도 출신인데 어릴때 보름날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잠을 안잤다고 해요:)
정월대보름 음식 나물
오곡밥(찰밥): 수수, 찹쌀, 조, 서리태, 팥을 섞어 지은 밥으로 정월대보름 하면 생각나는 대표음식이이에요.
묵은나물:
묵은 나물이란 작년에 말린 나물 재료를 물에 삶아 불렸다가 나물을 만들어 먹는 정월 대보름의 절식으로 ‘진채(陣菜)’라고도 합니다.
저희 부모님은 대보름에 묵은 나물 먹는 걸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시는데요, 이유는 설날에 고기나 기름진걸 많이 먹어서 대보름에 나물을 많이 먹어야 하고, 또 이렇게 대보름에 묵은 나물을 많이 먹으면 일년내내 건강하다고 믿기 때문이에요^^
부럼: 땅콩, 호두, 밤, 잣 등

귀밝이술 : 저희집은 주로 맥주를 마십니다^^
정월대보름 부럼깨기 놀이
저도 지금도 정월대보름이면 하는 놀이인데요,
바로 부럼깨기에요.
부럼깨기는 정월대보름 새벽에 견과류를 딱 소리가 나게 깨물어 액운을 쫓아내어 일년 한해동안 아무탈없이 일이 잘되기를 바라고 부스럼이 나지 말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정월대보름 속담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
(설은 눈이 많이 와야 좋고 대보름은 밝고 환한 달이 떠야 풍년이 들어서 좋다.)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
(객지에 나간 사람은 설에 부득이 집에 돌아오지 못하더라도 보름에는 꼭 돌아와야 한다.)
보름에 풑밥할 놈이 나왔다
(일반 농가에서 추수할 때 팥의 수확이 여의치 못할 때 불만스럽다. )
엄마표 정월대보름 음식 나물 오곡밥 사진 이미지



